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경상북도

덤프버전 : 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




1. 종합 결과
1.1. 포항시
1.2. 경주시
1.4. 안동시
1.6. 영주시
1.7. 영천시
1.8. 상주시
1.9. 문경시
1.10. 경산시
1.11. 군위군
1.12. 의성군
1.13. 청송군
1.14. 영양군
1.15. 영덕군
1.16. 청도군
1.17. 고령군
1.18. 성주군
1.19. 칠곡군
1.20. 예천군
1.21. 봉화군
1.22. 울진군
1.23. 울릉군


1. 종합 결과[편집]



포항시,영덕군(!), 칠곡군에서 4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려 선전하고, 무엇보다도 구미시에 더불어민주당 시장이 입성해서 보수의 심장에 민주당 후보가 입성하게 되었다.

1.1. 포항시[편집]


포항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허대만108,1272위
더불어민주당42.41%낙선
2이강덕127,5921위
자유한국당50.05%당선
3이창균7,9883위
바른미래당3.1%낙선
6손성호3,3295위
무소속1.3%낙선
7모성은7,8694위
무소속3.1%낙선
선거인 수421,806투표율
61.5%
투표 수259,375
무효표 수4,470

포항시는 남부경북의 중형급 도시이자 공업도시이지만, 포스코와 TK라는 지역정서의 영향으로, 진보정당이 약진하는 울산과 달리 보수 성향이 강했다. 그래서 민주당이 승리했던 20대 총선에서도 보수정당이 압승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여론조사 결과 5% 내외의 접전이 일어났고, 실제로도 겨우 7.64% 차이, 표차로는 19,465표 차이로 이강덕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는 6회 지선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안선미 후보가 겨우 13.8%를 득표한 것과는 천지차이다.

1.2. 경주시[편집]


경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배근30,4942위
더불어민주당22.38%낙선
2주낙영47,6561위
자유한국당34.99%당선
3손경익8,4365위
바른미래당6.2%낙선
6최길갈1,5596위
대한애국당1.1%낙선
7박병훈28,4203위
무소속20.86%낙선
8최양식19,6324위
무소속14.41%낙선
선거인 수218,273투표율
63.8%
투표 수139,158
무효표 수2,961

손경익, 최길갈, 박병훈, 최양식의 출마로 인하여 보수 표가 갈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주낙영이 34.99%의 득표율을 받고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최길갈은 낙선 후 제명되었다.


1.3. 김천시[편집]


김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응규27,0982위

ta-hash-start=w-874d0049df81546e041a1d82a75f5046[[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3.75%낙선
6박희주12,4053위

무소속

15.45%낙선
7김충섭40,7751위

무소속

50.79%당선
선거인 수119,511투표율
69.93%
투표 수83,572
무효표 수3,294

1.4. 안동시[편집]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삼걸29,1732위
더불어민주당31.74%낙선
2권기창27,8063위
자유한국당30.25%낙선
6권영세31,3901위
무소속34.15%당선
7안원효3,5384위
무소속3.8%낙선
선거인 수137,423투표율
68.7%
투표 수94,454
무효표 수2,547

상당히 보수성향이 강한 동네임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은 2위로 여기서 선전했다. 물론 3자구도에서의 이득을 누린 점이 크다. 참고로 권영세는 훗날 민주당으로 입당하게 된다.


1.5. 구미시장[편집]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경상북도 구미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세용(張世龍)74,917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0.79%당선
2이양호(李良鎬)71,0552위

ta-hash-start=w-4bf5d7d2a1bc51d753fecf97244464a2[[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8.69%낙선
3유능종(劉能鍾)13,8494위

ta-hash-start=w-d74701db7e4c88d6bbaf886726a270f0[[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7.54%낙선
6박창욱(朴昌旭)6,4825위

무소속

3.52%낙선
7김봉재(金奉在)17,3373위

무소속

9.44%낙선
선거인 수332,873투표율
56.25%
투표 수187,244
무효표 수3,604

2.10% 차로 접전 끝에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가 당선되어 사상 최초로 민주당계 정당이 보수의 심장 구미시에서 구미시장 자리를 배출하였다.

1.6. 영주시[편집]


영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옥식12,1313위
더불어민주당19.72%낙선
2장욱현29,7191위
자유한국당48.32%당선
6김주영19,6532위
무소속31.95%낙선
선거인 수91,447투표율
69.7%
투표 수63,738
무효표 수2,235

1.7. 영천시[편집]


영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정훈9,9743위
더불어민주당17.14%낙선
2김수용20,1452위
자유한국당34.63%낙선
6이남희1,5474위
무소속2.6%낙선
7최기문26,5041위
무소속45.56%당선
선거인 수88,000투표율
68.3%
투표 수60,071
무효표 수1,901


1.8. 상주시[편집]


상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송10,8954위
더불어민주당18.15%낙선
2황천모15,3941위
자유한국당25.65%당선
6김형상7506위
대한애국당1.2%낙선
7이정백12,9723위
무소속21.61%낙선
8성백영6,3775위
무소속10.62%낙선
9김종태13,6252위
무소속22.7%낙선
선거인 수87,109투표율
71.2%
투표 수61,997
무효표 수1,984

전임 시장 성백영, 현임 시장 이정백, 전 상주시 국회의원등 김종태 등 상주의 거물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하고, 대한애국당에서도 김형상이 출마했기 때문에 표 분산이 거하게 발생하면서 북부경북이자 자유한국당 텃밭에서 황천모 후보가 25.65%라는 낮은 득표율로 당선이 되었다. .

1.9. 문경시[편집]


문경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영기3,9313위
더불어민주당8.79%낙선
2고윤환21,5121위
자유한국당48.14%당선
6신현국18,7232위
무소속41.9%낙선
7권칠경5144위
무소속1.1%낙선
선거인 수62,685투표율
73.7%
투표 수46,219
무효표 수1,539

여담으로 민주당이 단 10%도 넘기지 못하고 낙선한 지역 중에서 그나마 10%에 근접한 지역이다.

1.10. 경산시[편집]


경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찬진40,1802위
더불어민주당34.71%낙선
2최영조64,4961위
자유한국당55.72%당선
3정재학11,0683위
바른미래당9.56%낙선
선거인 수215,139투표율
55.1%
투표 수118,511
무효표 수2,767


1.11. 군위군[편집]


군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영만8,7701위
자유한국당48.2%당선
6홍진규2,6473위
무소속14.54%낙선
7장욱6,7742위
무소속37.24%낙선
선거인 수22,753투표율
81.9%
투표 수18,642
무효표 수426


1.12. 의성군[편집]


의성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주수21,0491위
자유한국당60.07%당선
6신광진2,3123위
민중당6.59%낙선
7최유철11,6752위
무소속33.32%낙선
선거인 수48,843투표율
74.2%
투표 수36,245
무효표 수1,209


1.13. 청송군[편집]


청송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윤경희9,6041위
자유한국당54.62%당선
6심상박7,9792위
무소속45.37%낙선
선거인 수23,522투표율
77.2%
투표 수18,152
무효표 수569


1.14. 영양군[편집]


영양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상선9973위
더불어민주당7.95%낙선
2오도창5,7981위
자유한국당46.25%당선
6박홍열5,7392위
무소속45.78%낙선
선거인 수15,686투표율
82.3%
투표 수12,903
무효표 수369

민주당이 단 10%도 넘기지 못 하고 낙선한 지역 중 두번째로 10%에 근접한 지역이다.

1.15. 영덕군[편집]


영덕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성욱10,7242위
더불어민주당41.92%낙선
2이희진13,8451위
자유한국당54.12%당선
6박병일1,0103위
무소속3.9%낙선
선거인 수34,366투표율
76.6%
투표 수26,338
무효표 수759
북부경북에 농어촌이라서 자유한국당 세가 너무 강한 나머지, 민주당의 무덤으로 불리지만, 이번엔 장성욱이 41.92%를 얻어 선전했다.

1.16. 청도군[편집]


청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태율10,2512위
더불어민주당37.07%낙선
2이승율17,3991위
자유한국당62.92%당선
선거인 수39,294투표율
72.2%
투표 수28,368
무효표 수718


1.17. 고령군[편집]


고령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곽용환11,4341위
자유한국당58.3%당선
6임욱강8,1762위
무소속41.69%낙선
선거인 수29,462투표율
68.9%
투표 수20,298
무효표 수688


1.18. 성주군[편집]


성주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강태4,3403위
더불어민주당15.68%낙선
2이병환11,2991위
자유한국당40.83%당선
6배기순-사퇴
무소속-
7오근화1,4174위
무소속5.1%낙선
8전화식10,6122위
무소속38.35%낙선
선거인 수40,239투표율
71.7%
투표 수28,870
무효표 수1,202


1.19. 칠곡군[편집]


칠곡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세호23,2442위
더불어민주당43.47%낙선
2백선기25,2431위
자유한국당47.21%당선
6장재환4,9733위
무소속9.3%낙선
선거인 수96,894투표율
56.6%
투표 수54,849
무효표 수1,389

사드 배치 문제와 석적읍으로 대표되는 칠곡군은 6회 지선이나 19대 대선에서나 보수의 우세지역이였다. 하지만, 이번엔 공단지역인 석적읍에서의 민주당의 압승과 북삼읍에서의 선전, 관외투표의 영향으로 장세호 후보가 3.74%라는 차이로 석패했다. 물론 이는 장세호가 전 칠곡군수라는 점이 한 몫 했다 군수직을 상실해서 문제지


1.20. 예천군[편집]


예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학동17,8661위
자유한국당53.28%당선
6이현준15,6602위
무소속46.71%낙선
선거인 수44,218투표율
78.3%
투표 수34,637
무효표 수1,111


1.21. 봉화군[편집]


봉화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두성-등록무효[1]
더불어민주당-
2박노욱10,8002위
자유한국당49.69%낙선
6엄태항10,9341위
무소속50.3%당선
선거인 수29,582투표율
78.9%
투표 수23,342
무효표 수1,608

실제로 엄태항 군수는 맨 처음 선거때 민주자유당으로 당선됐던 한나라당 계열의 정치인이지만, 현재는 순수 무소속으로 분류된다. 19대 대선 정국에서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던 사람이다. 즉 원래부터 한국당에 가까웠던 사람이 아닌 것.

1.22. 울진군[편집]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진철2,5204위
더불어민주당7.87%낙선
2손병복8,5423위
자유한국당26.67%낙선
6임광원8,8282위
무소속27.57%낙선
7전찬걸12,1291위
무소속37.88%당선
선거인 수43,356투표율
76.5%
투표 수33,183
무효표 수1,164

민주당이 단 10%도 넘기지 못 하고 낙선한 지역 중 세번째로 10%에 근접한 지역이다.

1.23. 울릉군[편집]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영희4594위
더불어민주당6.23%낙선
2김병수2,6151위
자유한국당35.54%당선
6최수일1,9282위
무소속26.2%낙선
7김현욱4405위
무소속6.0%낙선
8남한권1,9153위
무소속26.02%낙선
선거인 수9,057투표율
82.6%
투표 수7,480
무효표 수123
-만명도 안되는 곳에 후보는 엄청나게 많이 나왔다.-

여담으로 민주당의 박영희 후보는 10%도 얻지 못 하고, 경북 지역에서 민주당 소속 최저 득표율로 낙선했다.
낙선한 남한권후보는 4년뒤 울릉군수에 당선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8 00:23:01에 나무위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경상북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책자형 선거공보 1만8000여 부를 기한까지 제출하지 않아 등록무효 처리되었다.